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백금 플래티넘 뜻, 화이트골드와 차이점

by stoneepisode 2023. 4. 5.

백금(Platinum)의 뜻과 특징

백금의 영문 이름 '플래티넘(Platinum)'은 스페인어로 '작은 은'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백금은 '현대의 귀금속'이라고 불릴 만큼 금(Gold)과 은(Silver)에 비해 역사가 길지 않습니다. 최초의 사용은 남아메리카 인디언들로 추정됩니다. 이들은 수백 년 동안 백금을 장식용품 제작에 사용했습니다. 유럽인들이 신대륙을 발견한 이후 1700년대에 비로소 세상에 알려졌으며, 18세기 중엽부터 과학자들의 관심을 받게 되었습니다. 과학자들로 인해 백금은 원소이며 귀금속이라는 것을 확인했고 모든 종류의 화학적 분석과 물리적 실험을 통해 금속의 특징을 알아낼 수 있었습니다. 백금의 융점은 1768도로 굉장히 높아 19세기에 와서야 다룰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름답고 부식이 잘되지 않는 백금은 최고의 귀금속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순수 백금은 광택이 나는 은백색으로 연성과 전성이 좋습니다. 또한 화학 반응성이 작아 공기 중에 매우 안정적이며 변화가 없습니다. 염산(HCI)이나 질산(NHO3) 등의 산이나 알칼리에 강하며 초고온에서도 강도가 우수하여 귀금속으로서 활용도가 높습니다. 백금은 1820년까지 주로 남아메리카에서 산출되었으며, 이후 러시아가 주된 생산국이 되었다가 현재는 전 세계 생산량의 약 75%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생산되고 있습니다. 

 

백금과 화이트골드의 차이점

한국 소비자들 중 '백금'과 '화이트골드'를 같은 금속이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과부터 이야기하자면, 백금과 화이트골드는 '전혀 다른 물질'입니다. 이런 오해가 생긴 이유는 '화이트골드'를 한글로 '백색 금'으로 풀이되기 때문에 '백금'과 헷갈리게 된 것입니다. 최근에는 백금을 '플래티넘'이라고 부르는 추세입니다. 화이트골드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황색 금(Gold)에 구리(Cu), 아연(Zn), 니켈(Ni)을 소량 넣어 은백색이 나도록 만든 합금입니다. 여기서 순금의 함량에 따라 순도(품위)를 표시하는데, 국내에서 유통되는 대부분의 화이트골드는 14K(585)와 18K(750)입니다. 이렇게 황색 금에 합금을 통해 만들어진 화이트골드와는 다르게 백금은 그 자체가 광택이 나는 은백색 귀금속입니다. 백금의 순도는 Pt999, Pt990, Pt950, Pt900, Pt850, Pt750, Pt700, Pt585, Pt505, Pt500, Pt100으로 표기합니다. 주얼리용으로는 보통 Pt850 이상을 사용하며,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접할 수 있는 순도는 Pt950입니다. 백금은 금에 비해 녹는점이 높아 주물 과정이 상대적으로 어렵고 세공에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합니다. 그러한 이유로 고급 주얼리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부식되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영원한 사랑'을 상징하는 '다이아몬드'에 가장 어울리는 금속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백금의 용도

아름다운 색상의 백금은 변색이 없고 부식이 되지 않아 반지, 귀걸이, 목걸이 등의 주얼리 소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백금의 주된 용도는 주얼리라고 생각하겠지만, 전체 생산량의 약 30%만이 주얼리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나머지 70%가 사용되는 중요한 용도는 화학 촉매를 비롯한 산업적 이용입니다. 백금은 수소화, 탈수소화, 이성질체화 반응 등의 촉매로 사용됩니다. 이들 반응은 연료, 플라스틱, 합성섬유, 의약품, 비료, 실리콘 수지 등을 생산하는데 이용됩니다. 특히 자동차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촉매변환기로 많이 사용되며, 치과 보철 재료, 전극, 화학 실험 장치, 인공 심장박동 조절기 등에 다양하게 쓰입니다. 또한 일부 금 화합물들은 항암제로 시판되어 사용됩니다. 국내에서는 구리를 제련할 때 주로 부산물로 얻습니다. 전성과 연성이 풍부하고 단단하며 녹슬지 않기 때문에 산화 및 환원의 촉매나 화학 기계, 전극, 도량형기 등으로 쓰입니다. 한국에서 백금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곳은 코닝정밀소재입니다. 이는 2011년 기준 코닝정밀소재 고정자산의 절반인 1조 5,000억 원의 가치입니다. 이는 코닝정밀소재의 주요 생산품인 LCD 기판 유리를 생산하기 위한 1,600도의 고열 작업에 필요한 용광로 배관을 제작할 때 백금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