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보석' 정의, 조건, 과거와 현재

by stoneepisode 2023. 2. 23.

보석의 정의와 역사

보석이란 '빛깔과 광택이 아름답고 굴절률이 크며 단단하고 희귀한 돌'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에 이르러 보석의 개념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변화하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선사시대 사람들에게 보석은 조개껍데기, 조약돌, 짐승의 뼈 등이었고, 그런 것들을 가공하여 목에 걸, 팔목과 손가락에 끼면서 착용하였습니다. 이후 청동기시대에 이르러 금, 은, 구리 등의 귀금속이 발견되며 보석의 개념 또한 넓어집니다. 우리나라의 보석 사용은 삼국시대 이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출토된 유물과 문헌에서는 붉은 옥의 생산 기록이 있으며, 사람들이 옥을 좋아하고 목걸이로 사용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삼국시대에는 금과 옥의 선호도가 높아졌고 장신구 종류 또한 귀걸이, 목걸이, 반지, 팔찌 등 다양해졌습니다. 장신구 재료로는 비취, 청옥, 백옥, 벽옥, 수정, 호박 등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그중 가장 많이 사용된 재료는 금과 비취입니다.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특히 백옥과 수정, 가락지와 비녀가 많이 만들어졌고 남자들의 단추와 두식에도 많이 이용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사랑한 보석

우리나라 사람들은 고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은은하면서 단아한 아름다움을 가진 보석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습니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동양과 서양의 보석 선호도를 특별히 나누기 어렵지만, 과거 우리나라 사람들이 특히 선호한 보석들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비취 : 에메랄드 녹색을 띠는 비취는 내구성이 강하고 단단하며 아름다운 빛깔을 가진 보석입니다. 비취는 삼국시대 초기에 많이 사용되었으며 고려,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가락지와 노리개, 비녀 등의 장신구로 사용되었습니다.

2. 백옥 : 희고 투명한 백옥은 내구성이 강하며, 중국에서 예로부터 귀하게 여긴 보석입니다. 조선시대에는 백옥의 불변성을 절개에 비유하였으며, 백옥 가락지와 비녀는 정절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3. 호박 : 호박은 송진 덩어리가 화석화된 보석으로 투명한 황색의 은은한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습니다. 호박은 냉기가 없고 가벼워서 목걸이, 노리개 등 장신구로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 사람들은 황금에 대한 선호도 또한 높았습니다. 황금의 화려한 빛깔과 불변의 성질 때문에 귀하게 여겼으며 삼국시대 초기부터 장신구 재료로 많이 사용하였습니다. 금과 보석으로 금관과 귀걸이, 반지, 팔찌, 목걸이, 비녀 등의 장신구를 만들었으며 신분과 지위를 상징하는 용도로 착용하기도 했습니다.

 

보석의 조건

보석은 내구성이 강하고 아름다우며 희귀할수록 높은 가치로 평가합니다. 보석은 원석 그대로 간직하거나 가공하여 장신구의 재료로 사용되며, 오랜 과거부터 인간의 사랑을 받아왔습니다. 대부분의 보석은 광물로 이루어져 있는데, 모든 돌이 보석이 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광물이 보석의 가치를 가질 수 있는 조건이 몇 가지 있는데, 나열해 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아름다움 : 최우선 조건으로서 모두가 인정할 수 있는 시각적인 아름다움이 있어야 합니다. 인간이 보석을 사랑하는 이유는 아름답기 때문입니다. '아름다움'의 기준은 가공한 광물의 빛깔과 광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색석의 경우 색이 짙고 균일할수록, 투명석의 경우 투명하고 빛의 분산력이 클수록 아름답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희소성 : 보석은 희귀할수록 가치가 높아집니다. 누구나 가질 수 있고 끝없이 생산된다면 그 가치는 떨어지기 마련입니다. 광물의 산출량이 적을수록, 어려울수록 해당 보석의 가치는 높아집니다.

3. 견고성 : 장신구에 많이 사용되는 만큼 보석은 견고해야 합니다. 보석의 견고성의 기준은 '경도'와 '인성'으로 나누어집니다. '경도'는 마모와 긁힘을 견뎌내는 정도이며 '인성'은 충격을 견뎌내는 정도입니다. 광물마다 경도와 인성은 다르지만 보석으로서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서는 견고성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4. 전통성 : 보석은 세대를 걸쳐 가치와 인정을 받아온 전통성이 있어야 합니다. 오랜 시간 보석의 상징적 의미와 아름다움을 인정받아온 보석이 현재까지 사랑받고 있습니다.

5. 휴대성 : 보석은 장신구의 역할이 가능한 휴대성과 활용성이 필요합니다. 단순히 소장하는 것만으로도 가치가 있는 보석도 있지만 원하는 형태로 연마가 가능하고 몸에 지닐 수 있는 보석일수록 가치가 높아집니다.

 

댓글